티스토리 뷰
목차
주식 투자를 시작하고 싶은 분이라면 기업 분석은 알아야 할 지식일 것입니다.
기업 분석은 재무제표를 통해 기업의 재정 상태, 수익 창출 능력, 그리고 미래 성장 가능성까지 파악할 수 있죠.
핵심 지표들을 제대로 이해하면, 겉으로 보이는 주가 흐름을 넘어 기업의 진짜 가치를 판단할 수도 있는 투자자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기업 분석, 왜 중요한가요? ]
기업 분석은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의 핵심입니다.
주가 변동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기업 자체의 가치에 집중하는 분석 방법이죠.
기업 분석을 통해 우리는 다음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경영진의 역량: 회사를 운영하는 사람들의 능력과 스타일은 어떤지.
- 재무 상태: 현재 회사가 어떤 사업을 하고 있고, 재정적으로 얼마나 안정적인지.
- 이익 현황: 주주들에게 돌아갈 이익의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이렇게 파악한 정보를 바탕으로 어떤 기업에 투자할지, 그리고 그 기업의 주식이 현재 적정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 핵심 재무 지표, 카테고리별로 완벽 정리 ]
수많은 재무 지표들은 유형별로 분류하여 이해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각 범주에 속하는 지표들과 그 계산 공식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활동성 지표: 얼마나 효율적으로 '굴리고' 있나?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매출을 올리는지를 측정합니다. 대부분의 지표 이름에 '회전율'이라는 단어가 포함됩니다.
• 총자산 회전율 (Total Asset Turnover)
o 공식: 순매출액 / 평균 총자산
o 의미: 기업이 가진 모든 자산으로 얼마나 많은 매출을 올렸는지 나타냅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자산 활용 효율이 좋다는 의미입니다.
• 재고자산 회전율 (Inventory Turnover)
o 공식: 매출원가 / 평균 재고자산
o 의미: 재고가 얼마나 빠르게 팔려나가는지 보여줍니다. 높을수록 재고 관리가 효율적입니다.
• 매출채권 회전율 (Accounts Receivable Turnover)
o 공식: 순매출액 / 평균 매출채권
o 의미: 외상으로 판매한 금액을 얼마나 신속하게 현금으로 회수하는지 나타냅니다. 높을수록 현금 회수 능력이 뛰어납니다.
2. 안정성 지표: 회사가 얼마나 튼튼한가?
기업의 중장기적인 채무 상환 능력을 측정합니다. 부채를 얼마나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 부채 자기자본 비율 (Debt-to-Equity Ratio)
o 공식: 총부채 / 자기자본×100%
o 의미: 자기자본(내 돈) 대비 부채(남의 돈)가 얼마나 되는지 보여줍니다. 이 비율이 높으면 부채 의존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이자 보상 비율 (Interest Coverage Ratio)
o 공식: 영업이익 / 이자 비용
o 의미: 영업 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 나타냅니다. 이 비율이 1보다 작으면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위험한 기업으로 간주됩니다.
3. 수익성 지표: 그래서 얼마나 벌었나?
기업의 이익 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들입니다. 투자자들이 가장 관심 있어하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 주당 순이익 (EPS, Earnings Per Share)
o 공식: 당기순이익−우선주 배당금 / 보통주식수
o 의미: 보통주 1주당 벌어들인 순이익을 나타냅니다. 기업의 수익성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자기자본이익률 (ROE, Return on Equity)
o 공식: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100%
o 의미: 주주가 투자한 자본을 활용해 얼마나 많은 이익을 냈는지 보여줍니다.
• 총자산수익률 (ROA, Return on Assets)
o 공식: 당기순이익 / 총자산 ×100%
o 의미: 기업이 보유한 모든 자산을 활용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창출했는지 나타냅니다.
• 배당 성향 (Dividend Payout Ratio)
o 공식: 현금 배당금 / 당기순이익 ×100%
o 의미: 순이익 중 몇 퍼센트를 주주에게 현금 배당으로 지급했는지 나타냅니다.
[ 가장 중요한 분석: 듀폰 분석 (DuPont Analysis) ]
듀폰 분석은 기업의 수익성 지표인 ROE(자기자본이익률)를 세 가지 핵심 요소로 분해해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 분석을 통해 단순히 ROE가 높다는 사실을 넘어, '왜' 높은지 그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듀폰 분석 공식:
ROE=(매출액순이익)×(총자산매출액)×(자기자본총자산)
ROE=순이익률×총자산 회전율×재무 레버리지
이 공식은 ROE를 세 가지 요소의 조합으로 설명합니다.
순이익률: 매출액 대비 순이익의 비율로, 수익성을 나타냅니다.
총자산 회전율: 총자산 대비 매출액의 비율로, 활동성(자산 활용 효율)을 나타냅니다.
재무 레버리지: 총자산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로, 안정성(부채 활용)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A 기업과 B 기업의 ROE가 똑같이 10%라고 해도, A는 높은 순이익률 덕분일 수 있고, B는 높은 총자산 회전율 덕분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듀폰 분석은 기업의 수익 구조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기업 분석은 숫자에 담긴 이야기를 읽어내는 과정입니다. 재무 지표를 통해 어떤 기업의 가치를 나름대로 측정해 보는 재미가 있을 것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주제 ]
본세, 가산세, 부담부증여 양도소득세, 상속세, 증여세 제척기간
본세, 가산세, 부담부증여 양도소득세, 상속세, 증여세 제척기간
1. 본세, 가산세의 국세부과 제척기간 납세자의 사기, 그 밖의 부정한 행위는, 국세부과의 제척기간을 10년이라는 표현을 두고 있는데, 제척기간이, 10년이라는 것은, 조문표현 그대로 이해해야
auri2.com
조세쟁송의 특례제척기간, 필요한 처분의 범위
1. 조세 쟁송의 경우, 특례제척기간 조세쟁송시, 특례제척기간이라는, 조문이 만들어진 배경은, 기본적으로, 납세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은 사실입니다. 예를 들어, 2015년, 5월
auri2.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