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재경관리사를 준비하시거나, 회계에 첫발을 떼는 분들, 회계에 대해서 소개해 드립니다.
1. 회계, 도대체 왜 배울까요? (정의와 목적)
회계는 한마디로 재무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일 것입니다.
회계의 정의: "회계정보 이용자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회계정보를 식별-측정-전달하는 과정"이라고 돼 있습니다.
핵심 키워드는 식별, 측정, 전달인데, 이 중에서도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게 가장 중요할 것입니다.
[ 키워드 설명 ]
식별 : 경제적 사건을 찾아내는 것 (예: 물건을 팔았네!)
측정 : 금액으로 나타내서 표시해 주는 것 (예: 얼마에 팔았지?)
전달 : 정리된 금액 정보를 보여주는 것 (예: 재무제표로 보여주기)
회계의 목적은 간단합니다. 이 계정들의 금액 정보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경제적 의사결정을 잘하도록 돕는 거죠.
그러면, 이 계정들 금액들, 즉 회계정보를 이용하는 자는 누구일까요? 회사 경영자부터 우리 같은 잠재적 투자자 (어린 꼬마도 나중에 투자자가 될 수 있으니!), 직원, 채권자까지 거의 모든 사람이 포함됩니다.
2. 회계의 두 얼굴: 재무회계 vs. 관리회계
회계는 누구에게 보고하느냐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재경관리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건 재무회계랍니다!
잠깐! 세무회계는요? 세무회계는 세금을 매기기 위한 회계로, 재무회계와 관점이 다릅니다. 재무회계를 세법에 맞게 조정해 주는 과정이 세무회계 일 것입니다.
3. 꼭 알아야 할 회계의 기본 개념 💡
A. 회계 기준: K-IFRS와 일반기업회계기준
우리나라 기업이 따르는 회계 기준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 (K-IFRS): 상장기업이나 금융회사 등이 무조건 따라야 하는 엄격한 기준이에요. 재경관리사 시험의 주된 내용입니다. 국제적인 신뢰도를 높여주죠.
• 일반기업회계기준: 주로 중소기업 (비상장 기업)에서 사용됩니다.
B. 회계 기간과 시점
회계에서는 시간을 이렇게 부릅니다.
• 당기: 올해 (보통 1월 1일 ~ 12월 31일)
• 전기: 작년
• 차기: 내년
시간은 이어져 있죠? 그래서 "전기말 (작년 말)과 당기초 (올해 초)는 같다"고같다"라고 생각하고, "당기말과 차기초도 같다"고 봅니다.
C. 회계 처리의 핵심 원칙: 발생주의 & 복식부기
발생주의 (Accrual Basis): 회계는 돈이 들어오고 나가는 시점 (현금주의)이 아니라, 경제적 사건이 발생했을 때 수익과 비용을 인식합니다.
o 예시: 외상으로 물건을 팔았으면, 아직 돈은 못 받았지만, 물건을 판 순간 바로 수익으로 인식하는 거예요!
복식부기 (Double-entry Bookkeeping): 장부를 작성할 때 차변 (왼쪽)과 대변 (오른쪽)에 이중으로 기입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 덕분에 오류를 스스로 검증할 수 있는 '자기 검정 기능'이 있어요.
4. 재무제표 (Financial Statements) – 5총사 🖐️
국제회계기준(K-IFRS)에서 정하는 재무제표는 총 5가지입니다. 꼭 외워두세요!
재무상태표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 BS
포괄손익계산서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 CIS
현금흐름표 (Statement of Cash Flows)
자본변동표 (Statement of Changes in Equity)
주석 (Notes)
A. 재무상태표 (BS) - '일정 시점'의 성적표
키워드: 일정 시점 (보통 회계 기말)의 기업 재무 상태를 보여줍니다.
• 구성: 자산, 부채, 자본
• 재무상태표 등식: 자산 = 부채 + 자본 (왼쪽 합계와 오른쪽 합계는 항상 같아야 합니다!)
구성 요소 정의
자산 (Assets) 미래에 돈을 벌어다 줄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부채 (Liabilities) 미래에 돈이 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갚아야 할 의무
자본 (Equity) 자산에서 부채를 뺀 잔여액 (순자산)
B. 포괄손익계산서 (CIS) - '일정 기간'의 활동 기록
키워드: 일정 기간 동안의 기업 경영 성과를 보여줍니다.
• 구성: 수익과 비용
• 경영 성과: 수익 - 비용 = 이익 (순이익)
구성 요소 정의
수익 (Revenues) 영업 활동 등으로 자본을 증가시키는 요인
비용 (Expenses) 수익을 얻기 위해 자본을 감소시키는 요인
C. 자본과 순이익의 끈끈한 관계 🤝
회계는 결국 연결되어 있습니다. 일정 기간 동안 번 순이익은 기업의 자본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순손실이 나면 자본이 감소합니다.
기말자본=기초자본+당기순이익
이 기본 관계를 잘 기억해 두세요!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입문 1번이었습니다. 회계 각 계정과목들 금액 계산하는 방법 등도 배워보시고, 각 재무제표들이 연결된 것들도 이해하시면 재미있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