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년, 9월 최근에 많은 사람들에게 불안감을 안겨준 KT 해킹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우리 일상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통신 서비스의 보안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이번 해킹의 원인, 피해 상황, 그리고 우리가 할 수 있는 대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T소액결제 해킹

     

    1. 해킹 사건,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나?

     

    이번 KT 해킹은 '유령 기지국'이라는 아주 교묘한 방법으로 일어났습니다. 마치 진짜처럼 보이는데 사실은 가짜인 기지국을 해커들이 직접 만들어서 사용한 것입니다.

     
    • 해킹 방법: 해커들은 초소형 기지국 장비인 펨토셀을 이용했습니다. 이 장비는 원래는 통신 신호가 잘 안 터지는 곳에서 신호를 좋게 만들기 위해 쓰는 것인데, 해커들이 이 장비를 나쁜 마음을 먹고 개조한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 유령 기지국의 원리: 우리 휴대폰은 주변에 있는 가장 신호가 좋은 기지국에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해커들이 만든 가짜 기지국이 진짜 기지국보다 더 강한 신호를 보내면, 우리 휴대폰은 속아서 가짜 기지국에 연결됩니다. 이렇게 되면 휴대폰과 통신사 사이에 해커가 끼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 정보 유출: 휴대폰이 가짜 기지국에 연결되면, 해커는 우리 휴대폰의 '가입자 식별 정보(IMSI)'를 훔쳐갈 수 있습니다. 이 정보가 있으면 마치 우리가 사용하는 것처럼 행동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KT는 해당 기지국 신호를 받은 이용자 4명 중 1명꼴인 5천여 명의 유심에서 IMSI가 유출됐다고 밝혔습니다.

     

     

     

    2. 피해 현황: 소액결제부터 더 큰 문제까지

     

    이번 해킹 사건으로 가장 먼저 드러난 피해는 무단 소액결제였습니다. 특히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 일대에서 많은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 소액결제 피해: 해커들은 훔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해 보안이 약한 SMS 인증 기반의 소액결제를 노렸습니다. 원래 우리 휴대폰으로 와야 할 인증 문자를 가로채서 결제를 한 것입니다. 10분 만에 100만 원 가까운 돈이 빠져나간 경우도 있었습니다. 2025년 9월 9일 오후 6시 기준, 접수된 피해는 124건이며, 피해액은 8천60여만 원으로 파악되었습니다.
    • KT의 대응: 다행히 KT는 이번 해킹으로 발생한 피해 금액을 사용자들에게 청구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습니다

     

    3. 추가 피해 징후: 내 휴대폰에 이상한 일이?

     

    일부 피해자들은 소액결제 피해 말고도 수상한 일들을 겪었다고 말했습니다.

    • 이상한 알림: 어떤 피해자는 새벽 시간에 갑자기 걸음 수 측정 앱이나 공동현관 출입문 원격 제어 앱에서 알림이 떴다고 했습니다. 이 앱들은 원래 직접 열어야만 알림이 뜨는 경우가 많은데, 누군가 해킹으로 얻은 정보를 이용해 앱을 몰래 열어본 것 아니냐는 의심이 나오고 있습니다.
       
    • SNS 계정 로그인 시도: 또 다른 피해자들은 새벽에 다른 지역에서 본인 명의의 SNS 계정으로 로그인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해킹의 범위가 아직 명확하지 않아, 소액결제 외에 도청이나 촬영 같은 더 심각한 피해가 있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4. 지금 당장 확인하고 대응해야 할 3가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직접 자신의 정보를 지키기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비밀번호 바꾸기!

    만약 KT 계정 비밀번호와 다른 사이트의 비밀번호를 똑같이 사용하고 있다면, 지금 당장 모든 비밀번호를 바꿔야 합니다. 해커들이 훔친 정보로 다른 사이트까지 해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소액결제 차단 신청하기!

    이번 해킹이 소액결제를 노린 만큼, 아예 통신사에 소액결제 기능을 차단해 달라고 신청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해킹으로 한도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2차 인증 사용하기!

    소액결제나 중요한 앱을 사용할 때, 비밀번호만으로 로그인하는 것보다 2단계 인증을 설정해 두는 게 좋습니다. 카카오톡 같은 앱도 설정에서 2단계 인증을 켜고, 해외 로그인 차단을 해두면 훨씬 안전합니다. SMS 인증이 아닌, 앱이나 OTP를 이용한 인증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번 KT 해킹 사건은 통신사와 정부가 더 강력한 보안 시스템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 스스로도 개인정보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