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ETF란 무엇인가

     

    1. ETF 란

      ETF 저는 재 작년에 시작했죠... 그 당시 시작하게 된 계기가 아마도, 주식에 관심이 가서 HTS로 처음 주식 투자를

    해 봤습니다. 처음 시작이니까, 몇십만 원 정도 소액으로 신한은행, 삼성전자로 시작했는데, 여기저기 정보를 알아보다가

    개미투자자 가 한국주식으로, 수익 내기는 쉽지 않은데, 미국 ETF가 장래성이 있다는 글을 읽고, 바로 ETF를 구매했습니다

    ETF란 우리말로, 상장지수펀드로 번역되는데,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라는 뜻입니다. 미국 S&P 500 지수라는 게 있는데

    저는 그 S&P 500 지수의 대상이 되는 500개 미국 우수 기업들 중에서 상위 몇 십 개 인가(투자안내서를 잘 안 봐서 몇 개 기업인지 기억이 잘 안 나네요) 기업에 투자하는, 국내 자산운용사에서 판매하는 ETF를 투자했습니다.

     

     

     

    2. ETF 하는 법

      ETF를 구매하는(투자하는) 방법은 국내에서는 자산운용사 검색하셔서, 거기서 판매하는 국내 것의 ETF, 또는 미국, 인도등(요즘은 인도가 성장 잠재력이 있다고 인기 있는 것 같습니다.) ETF도 투자할 수 있고, 요즘은 미국 ETF를 직접 투자하기도 하더라고요.. 미국에서 유명한 투자운용사들이 만든 ETF를 직접 구입하는 분들도 많죠.  그중에는 1주당 가격이 원화로 하면 80만 원 가는 것도 있고, 그 정도 금액이 부담스러우면, 국내에서 판매하는 미국 지수 추종 ETF는 1주당 가격이 몇 만 원 대로 있어서 처음에 부담이 적을 수 있습니다.

     
    3. ETF 장기투자 단점일까, 장점일까

      저는 배당을 받는 목적으로 미국 배당 ETF와, 장기보유 목적으로 S&P 500과, 나스닥 지수 추종하는 ETF, 이렇게 3 종류

    모으고 있습니다.  은행이나, 주식 금융에서는 언제나 강조하는 복리효과.  미국 경제 성장이 등락이 있어도, 길게 봤을 때는 성장하고 있을 것이다라는 가정 하에, 10년, 등 몇십 년 장기보유로 적립식 투자한다는 생각으로 해서, 또 복리가 몇 십 년 정도 기간이면 효과가 발생하더라고요...

     

     

     

    4. ETF 세금은?

        국내애서 발행하는 ETF는 수익을 판매해서 직접 실현시킨 경우에는 배당소득이라는 것으로 세금이 부과됩니다.

       그래서 총수입 금액에 15.4%를 세금으로, 판매 시점에 미리내고, 그다음 연도 5월 달에 종합소득세로 신고할 때, 다른 소득들과 합산해서, 계산해서 세금을 구해서, 미리 낸 15.4%는 다시 공제해 주고 나머지만 세금을 내는 방식입니다.

     

       미국에서 직접 구매한 ETF는 해외 주삭과 마찬가지로 양도소득세로 세금을 내야 합니다.

     

    5. 결론

       요즘 ETF가 사람들이 많이들 투자하고 있으신 듯하고,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이 있으시면, 간단하게 알려드릴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이었습니다.  다들 성공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